[KOR] [ENG]

솟음도(CAMBER도)를 그려줍니다.
 
  Program name : CAMBER.LSP

Camber라는 단어를 사전에서 찾아보면 '위로 휘게하다'라고 되어있습니다. 무엇을 위로 휘게 한다는 것일까요? 교량의 하부(Pier, Abut)위에 올려져있는 상부는 비교적 얇고 길게 되어있습니 . 길으면 기차~ 기차는 빨러~ ♪ (이구구.. 산천포) 긴것은 처지게 되어있죠. 교량의 재료는 대부분 콘크리트나 강재로 되어있습니다. 상당히 무거운 재료들이죠. 그래서 교량을 반듯하게 만 들어도 그 자체의 무게(자중,自重)때문에 중간부분이 추~욱 처지게 되겠죠. 그래서 토목기술자들 은 한가지 꾀를 내게 된것이죠. 바로 상부를 만들때 미리 위로 볼록하게 만들어 놓는 것입니다. 물론 그 볼록하게 올라가는 높이를 자중에 의해서 처지는 양과 같게 해서 말이죠. 그렇게 하면 볼록하게 만든 상부는 자중에 의한 처짐에 의해서 반듯한 구조물이 되는 것이죠. 재밋죠 그래서 설계자는 시공자에게 그 솟음량(Camber)과 솟음의 형상을 알려주기 위해서 솟음도 (Camber도)를 그리게 되는 것입니다. 그런데 이 Camber도를 그리기가 여간 짜증나는게 아닙니다.(나만 그런가) 왜냐하면 구조해석 을 통해서 나온 자중에 의한 처짐량의 부호를 반대로 바꾸고, 미터단위를 cm단위(또는 mm단위) 로 바꾸어서 그려주어야합니다. 여기까지는 별로 짜증나는 것이 아닙니다. 문제는 종횡비를 다르 게 해야한다는 것입니다. 종횡비를 1:1로 해서 솟음도를 그리면 어떻게 될까요? 교량은 길고 처짐 량은 작슴니다. 결국 그림상에서의 솟음량은 표시도 안나게 되겠죠. 그래서 처짐값을 몇십배 튀겨 서 그릴 수 밖에 없는 것입니다. 그리고 한가지 더.. Camber table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입니다. 으~ 숫자 쓰는 것도 지겨워~잉. 얼핏 생각하기엔 간단해 보이는 도면이(실제로 그려놓고 보아도 간단함) 실제로 작업을 하다보면 이런 짜증나는 상황들과 만나게 되는 것입니다. 바로 이러한 작 업이 program화 하기 가장 좋은 Item입니다. 단순반복작업! CAMBER.LSP는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서 태어났습니다. 즉 Data file을 읽어서 camber 도와 camber table을 그려주는 것입니다. data file은 구조해석 ouput의 처짐 부분을 적당히 편집해 서 만들어준 다음, CAD에 들어가서 CAMBER.LSP을 실행시키면 솟음도가 완성되는 것입니다. 百聞 이 不如一見이라... 사용예를 보시죠~
  사용예 LEFT MARGIN (mm)<60>: [도각과 camber도 사이의 여백] 41-NODE / 2-CAMBER(S) / 1-COMBINATION(S) / 1-DRAWING(S) FOUND [data file선택 dialog box가 뜹니다.[data file선택] Column width (mm)<20.0>: [CAMBER TABLE 한칸의 폭]
Enter Factor of Value <1.0>: [CAMBER 데이터에 곱하고 싶은 값( 예를 들어 data는 0.001로 m단위이고 표현은 1로 mm단위로 표시하고 싶다면 1000을 입력함)] Enter Precision <3>: [Camber값의 소수점 이하 자리수를 입력]
- data file 내용 -
- 1, 0.0,  0.00000,  0.00000,A1
  2, 1.0, -0.02345, -0.02624
  3, 2.0, -0.04089, -0.04574
  4, 3.0, -0.04931, -0.05517
  5, 4.0, -0.04830, -0.05404
  6, 5.0, -0.03870, -0.04330
  7, 6.0, -0.02362, -0.02642
  8, 7.0, -0.00883, -0.00988
- 9, 8.0,  0.00000,  0.00000,P1
 10, 9.0,  0.00037,  0.00042
 11,10.0, -0.00678, -0.00758
 12,11.0, -0.01522, -0.01703
 13,12.0, -0.01931, -0.02160
 14,13.0, -0.01713, -0.01916
 15,14.0, -0.00983, -0.01100 ↗
 16,15.0, -0.00212, -0.00238
+17,16.0,  0.00000,  0.00000,P2
 18,17.0, -0.00615, -0.00688
 19,18.0, -0.01752, -0.01960
 20,19.0, -0.02764, -0.03092
 21,20.0, -0.03151, -0.03525
 22,21.0, -0.02764, -0.03092
 23,22.0, -0.01751, -0.01959
 24,23.0, -0.00615, -0.00688
-25,24.0,  0.00000,  0.00000,P3
 26,25.0, -0.00213, -0.00239
 27,26.0, -0.00985, -0.01102
 28,27.0, -0.01716, -0.01920
 29,28.0, -0.01935, -0.02164
 30,29.0, -0.01526, -0.01707 ↗
 31,30.0, -0.00682, -0.00763
 32,31.0,  0.00035,  0.00039
-33,32.0,  0.00000,  0.00000,P4
 34,33.0, -0.00880, -0.00984
 35,34.0, -0.02354, -0.02634
 36,35.0, -0.03858, -0.04316
 37,36.0, -0.04830, -0.05403
 38,37.0, -0.04962, -0.05552
 39,38.0, -0.04126, -0.04616
 40,39.0, -0.02364, -0.02645
-41,40.0,  0.00000,  0.00000,A2
COMB
1+2
draw
1,2,3
 
■ CAMBER data입력
첫번째줄의
       - 1, 0.0,  0.00000,  0.00000,A1
       | |   |      |        |   +--- ① Abut/Pier Number
       | |   |      |        +------- ② 처짐값 2 (해석결과) ※주의: camber량 아님
       | |   |      +---------------- ③ 처짐값 1 (해석결과)
       | |   +----------------------- ④ node의 X 좌표
       | +--------------------------- ⑤ node번호
       +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⑥ - : 가동단 표시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+ : 고정단 표시
  두번째줄부터.. 첫번째줄과 같은 요령으로.. ① Abut/Pier Number [Abut/Pier marking을 해줍니다.] ② 처짐값 2 (해석결과) [처짐값은 여러개 줄 수 있슴니다. 보통 강합성 교량일 경우 합성전과 합성후 두개죠. ③ 처짐값 1 (해석결과) [해석 output을 적당히 조작하면 되겠죠] ④ node의 X 좌표 [ " ] ⑤ node번호 ⑥ - : 가동단 표시 [가동단(-), 고정단(+) 표시 첫column에 와야합니다] + : 고정단 표시 [+/- 표시가 있는 line의 마지막엔 Abut/Pier number가 있어야 합니다.]   ■ 조합 및 그리기명령 ▶ COMB COMB 다음줄에 앞에서 지정한 CASE들을 조합합니다. 예를 들어 앞에서 2개의 Camber를 정의 했다면 COMB명령 다음줄의 조합은 3번 case가 되는 원리입니다. COMB 1+2 ←앞에서 2개의 case를 지정하였으므로 3번 case가 됨 1+3 ←조합으로 만들어진 case를 다른 조합에서 사용할 수 있슴

  ▶ DRAW 기본 case 및 조합 case를 그림으로 그리는 기능입니다. DRAW명령 밑에 한줄에 한 개의 그림 을 정의 합니다. 예를 들어 DRAW 다음줄에 1,2,3이라고 하면 한 개의 camber도에 1,2,3번 case 가 그려집니다. 1,2,3번 case를 따로 그리고 싶다면 각각 1줄에 써주면 됩니다.
위의 데이터로 그려진 도면은 아래와 같습니다.  


 

 
기타등등 : 
     솟음도의 X축 길이는 도각 크기에 맞게 계산됩니다.
       Camber table의 길이가 도각의 길이보다 큰 경우 둘로 나누어 아래/위로 배치합니다. 
            둘로도 안들어갈땐 세개로 나누어서.. 그래도 안되면 4개로.. 5개로.. 6개로.. 
         Camber table의 줄높이는 7mm입니다.
      text의 크기는 2.5mm입니다.